레디앙 원고 http://www.redian.org/news/articleView.html?idxno=13364 | ||||||
[녹색칼럼] 월성 핵발전소 1호기 압력관 교체와 울산 북구 | ||||||
4월말로 다가온 울산북구 재보궐선거를 두고 진보진영의 논쟁이 뜨겁다. 이명박 정부 2년차를 맞아 국민들이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는 상황에서 울산북구의 승리는 생각만 해도 즐거운 일이기에 뜨거운 논쟁만큼이나 좋은 선거결과를 통해 진보진영에 작은 기쁨이 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체르노빌 사고로 주민들의 출입이 통제된 구역이 반경 30km 이고, 현행법상 핵발전소 피해를 예상하여 설정해 놓은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이 통상 8~10km을 생각할 때 울산 북구는 사실상 핵발전소 인근 지역이다. 이런 월성 1호기가 핵발전소의 주요 부품 중 하나인 압력관을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한다고 한다. 압력관은 핵연료다발을 장전하는 관으로 월성 1호기의 경우, 당초 평균이용률 80% 상태에서 30년동안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평균 86%의 이용률을 기록하면서 설계수명보다 5년 빨리 수명을 다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 20개월동안 발전소를 멈춤에 따라 생기는 발전소 손실 등을 고려할 때 비용은 더욱 커지게 된다. 하지만, 압력관 교체 이후 남은 월성 1호기의 설계수명은 불과 24개월에 불과하다. 혹시 경주나 울산에 살고 있는 독자 가운데 이러한 이야기를 처음 듣는 이들이 있을 수 있다. 안타깝지만, 이것도 우리의 현실이다. 아이러니컬하게 신규핵발전소나 핵폐기장 건설과정에서 같은 제목의 보고서들은 모두 공청회장에서 공개되고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하물며 수명 연장을 둘러싼 절차가 그러한데, 일개 부품(그러나 6000억 원이나 하는 부품)을 교환하는 일에 정보공개와 설명회를 반드시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의 기본 입장이다. 상황이 그러니 인근에 살고 있는 지역주민들은 ‘녹색성장의 힘 - 한국수력원자력’ TV CF 이외에는 접할 수 있는 정보가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문제는 그리 만만치 않다. 월성에 있는 핵발전소는 고리, 울진, 영광에 있는 다른 핵발전소와 달리 CANDU 형이기 때문이다. 캐나다에서 개발하여 이름이 CANDU(CANada Deuterium Uranium)라고 붙여진 CANDU형 원자로는 수출을 염두해두고 만들어졌지만, 아쉽게도 한국, 인도 등 일부 국가에만 보급된 기종이다. 따라서 그동안 수명 연장의 경험이 없으며, 그나마 캐나다에서 시행된 압력관 교체 작업도 인허가체계가 우리와 달라 수명 연장이라고 하기 힘들다. 무엇보다 안전을 최우선시 해야 하는 핵발전소의 특성을 이해한다면, CANDU 원자로의 안전성 문제는 충분히 검토되고 정보공개와 의견수렴과정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지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절차는 그렇지 않다. 이에 따라 바로 인근에 중저준위 핵폐기장이 지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폐압력관은 별도의 저장시설을 지어 50년동안 임시저장하게 된다. 핵발전소가 있는 4개지역과 원자력연구원 등 연구시설이 있는 대전에서 이보다 훨씬 방사선 준위가 낮고 짧은 기간 보관하기 위해 임시저장시설을 지으려고 했다가 큰 논란이 있었던 것을 생각한다면, 이는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50년이란 기간은 보통 한 사람의 일생에 가까운 시간을 의미하기 때문에 ‘임시’ 저장이라고 생각되기 힘든 기간이다. 바로 최근까지 방폐장 문제로 전국적인 혼란을 겪었던 것을 생각한다면, 원자력법의 허점을 이용해 논란을 피해갔다는 의혹을 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안타까운 일이 또 하나 있다. 바로 최근까지 논란이 되었던 고리 핵발전소 1호기 수명 연장이 - 한수원의 표현을 빌린다면 - ‘지역주민의 이해와 협조’ 속에 성사되었다. 고리 1호기 수명 연장 논쟁 당시 문제제기 되었던 정보공개, 절차상의 문제, 안전성, 경제성 논란 등 어느 것 하나 속시원하게 해결된 것은 없었지만, 고리 1호기 수명 연장은 계획대로 추진되었다. 하지만, ‘보상’을 다른 모든 것이 해결된 이후 마지막에 논의되어야 할 부분이다. 고리 1호기의 정보공개는 수명 연장이 끝난 이후에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번 월성 1호기 수명 연장에서 보이듯 절차상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20년 수명 연장을 목표로 10년간 연장한 고리 1호기가 10년 뒤, 20년 뒤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고리 1호기는 ‘지역주민의 이해와 협조’라는 허울좋은 명분을 앞장 세워 가동되고 있고 그 중심에는 ‘보상’이 있다. 6000억 원의 비용, 20개월의 시간. 그리고 추후 발전소 수명 연장을 위해 투여해야 할 더 많은 돈과 시간을 재생에너지와 에너지효율 향상에 투자한다면 우리는 더 많은 것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TV CF와 ‘녹색성장 계획’에만 존재하는 ‘핵산업계의 천국’ 대한민국이 아니라, 진정한 의미의 ‘녹색성장’을 만들어가는 데 30년된 낡은 발전소 월성 1호기를 포기하면서 얻는 자원은 훌륭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 최초 폐쇄 핵발전소의 영광스러운 이름을 월성 1호기가 차지하게 되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 ||||||
|
'원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실가스 감축, 그 이면에서 짚어져야 할 문제들 - 에너지 정의의 관점에서 바라본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 - (0) | 2009.11.25 |
---|---|
정말 핵발전이 기후변화의 대안인가? - 잊을 만하면 한 번씩 나오는 환경운동가들의 ‘찬핵 선언’ (0) | 2009.11.25 |
월성1호기 수명연장 안된다 (0) | 2009.04.07 |
[강연자료] 기후변화시대, 에너지를 다시 생각하다 (0) | 2009.02.06 |
[강연자료] 전기 에너지의 불편한 진실 (0) | 2009.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