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redian.org/news/articleView.html?idxno=11486
부안이 될 것인가, 경주가 될 것인가? | |||||||||||||||
[녹색칼럼] 고준위핵폐기물 문제…또다시 지역지원금에 목매서는 안돼 | |||||||||||||||
돈 둘러싸고 홍역 겪고 있는 경주
3년이 지난 지금, 경주 방폐장은 어떤 국면을 맞고 있을까? 안타까운 일이지만, 경주는 아직도 방폐장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주민투표 직후 지역지원의 일환으로 제시되었던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이전 위치를 둘러싼 논란으로 얼마 전까지 방폐장 유치활동을 진행하는 이들이 경주 시내지역과 동경주 지역으로 나뉘어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 또, 3000억 원 이외의 유치지역사업비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지역내 논란, 방폐장 유치시 지자체가 부담해야할 양성자가속기건설 분담금 1604억 원의 정부 지원을 둘러싼 논란, 방폐장을 관리하는 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본사선정을 둘러싼 논란 등 3년 내내 방폐장을 둘러싼 지역 갈등이 끊이지 않았다. 중저준위핵폐기물은 처분되고 최소한 300~400년 정도 생태계로부터 격리되어야 하는 물질이다. 300~400년을 가야할 국가의 정책이 마치 시장판의 흥정처럼 '얼마면 되는가?'라는 논의로 전락해 버린 것이다.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 이제 논의를 시작해야할 고준위핵폐기물(사용후핵연료) 문제가 있다. 헛돌고 있는 고준위핵폐기물 논란 중저준위핵폐기물과 달리 고준위핵폐기물 문제는 복잡하다. 우리나라 고준위핵폐기물은 대부분 핵발전소에서 사용하고 남은 사용후핵연료로 처분시 최소 1만 년 이상 보관해야 하는 등 방사성의 준위가 높고 관련 기술 연구가 아직 미흡하다. 또한 이를 재처리할 경우 핵무기의 원료가 되는 플루토늄이 나오기 때문에 국제사회의 관심을 많이 받고 있기도 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 핵발전소에 보관중인 사용후핵연료의 임시저장고가 부족한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정부발표에 따르면 2016년이면 임시저장고가 포화되기 때문에 이전에 사용후핵연료를 중간저장하기 위한 시설을 건설하지 않으면 최악의 경우 핵발전소 운전중지와 같은 일들이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은 구체적으로 부지를 선정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 논란이 불붙을 경우 과거 방폐장 문제로 몸살을 앓았던 지역은 또다시 혼란에 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를 앞두고 지난 4월, 정부와 원자력계, 시민사회 등은 국가에너지위원회를 통해 '사용후핵연료 문제 공론화'를 위한 권고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이 권고보고서는 사용후핵연료 문제에 대해 과거와 같이 일방적인 정책추진(DAD, Decide-Anounce-Defense)이 아니라, 문제를 사회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공신력있는 논의기구를 만들어 사회적인 논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을 권고했다. 그러나 이 권고보고서가 나온 지 6개월이 지났지만, 아직 고준위핵폐기물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는 한발도 진행되지 못했다. 고준위핵폐기물 문제가 부안처럼 대규모 지역주민들의 반발과 혼란으로 이어질지, 경주처럼 '돈'이면 갈등도 해결된다는 '3000억 학습효과'를 재각인시키는 결과를 낳게 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충분한 사회적 논의를 해 본 경험이 없는 우리로서는 아직 모범사례를 찾기 힘들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과거와 같은 방식의 선택을 한다면, 고준위핵폐기물 문제는 두고두고 정부와 우리 모두의 짐이 될 것이 분명할 것이다. 우리 사회가 사회적 논의의 전형을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매번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치루고도 교훈은 남지 않는 구태의연함에서 헤어나오지 못할 것이다. 고준위핵폐기물 공론화는 이 악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날 기회이다. 이 기회를 활용할지, 아니면 과거의 악순환에 빠져 있을지는 전적으로 우리 모두의 판단에 달려있다. | |||||||||||||||
|
'원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변화종합대책와 핵산업 육성의 문제점 (0) | 2008.11.19 |
---|---|
사용후핵연료 관리의 사회적 논의 방안과 원칙 (0) | 2008.11.14 |
거꾸로 가는 에너지정책 막아선 일본 시민들 (0) | 2008.11.03 |
방폐장에 이은 또 하나의 충격, 고리 1호기 수명연장 (0) | 2008.11.03 |
[기고]‘고리 1호기 연장’ 정보 공개를 (0) | 2008.11.03 |